요즘 카페나 음식점에서 일하려면 보건증이 필요하다는말 들어보셨을거에요
처음 듣는 분들은 '이게 뭔지', '어디서 어떻게 받는 건지'부터 막막하실 수 있어요
보건소에서 받으면 최소 3~7일 걸리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시는 게 좋아요
보건증 발급 방법부터 검사항목 ,당일 발급 받는 방법 까지 필요한 정보만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보건증은 누가 발급 받아야 하나요?
보건증은 음식이나 사람을 직접 만나는 업종에서 법적으로 의무 발급이에요
보건증 발급 대상
식당, 카페, 분식집, 제과점 등 음식을 직접 다루는 분들
학교 급식실, 유치원, 병원 내 조리사나 조리보조
음식 관련 창업 준비 중이신 분들
유흥업소에서 일하시는 분들
2. 보건증 발급 전에 챙겨야 할 준비물은?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하나)
만약 미성년자라면 학생증 +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해요
3. 어디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을까요
보건소, 가까운 일반 병원에서 발급 가능해요
4. 우리 동네 보건소나 병원, 어떻게 찾죠?
1) 보건소 찾기
방법 1) 네이버 또는 네이버지도에 “동네 이름 + 보건소” 검색
예: “성남시 보건소”
방법2)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링크 들어가서 지역 검색
https://www.e-health.go.kr/gh/heSrvc/selectHeOrgMainInfo.do?ctprCd=1&menuId=200087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2) 보건증 발급 병원 찾기
네이버지도에 "지역명과 병원" 검색해서 전화
예) 성동구 병원
전화해서 아래 4가지를 꼭 물어보세요
보건증 발급 가능한지
며칠 걸리는지
장티푸스 검사도 해주는지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이때 팁 ! 병원마다 검사 항목·가격·발급일이 다르니, 2~3군데 전화 비교해보는 게 좋아요
4. 검사 시간과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요?
항목 | 보건소 | 일반병원 |
비용 | 3,000원 | 15,000원 ~ 20,000원 사이 |
검사 시간 | 20 ~ 30분 | 10 ~ 20분 |
발급 기간 | 평균 3 ~ 7일 후 수령 가능 | 병원마다 다름 (※ 당일 발급 가능한 곳 있음) |
5 . 어떤 검사 하게 되나요?
기본적으로는 3가지 검사가 들어가요
폐결핵 검사 – 흉부 X-ray 촬영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 손, 팔 상태 육안 검사
장티푸스 검사 – 면봉을 항문에 2.5~4cm 정도 넣어서 채취
6. 직종 에 따라 검사 항목이나 유효기간이 다를수 있어요
어떤일을 하느냐에 따라 유효기간이 짧거나 추가 검사 항목이 발생할수 있어요
식품업 종사자 → 유효기간 1년
학교 급식 조리원 → 유효기간 6개월
유흥업소 종사자 → 유효기간 3개월, 검사 항목이 더 추가될 수 있어요
직종 | 유효 기간 |
검사항목 | 추가검사항목 | 비고 |
음식점, 카페, 제과점 등 | 1년 | 폐결핵, 장티푸스, 전염성 피부질환 | 없음 | 일반적인 식품위생업 종사자 대상 |
급식 조리원 (학교, 병원 등) |
6개월 | 폐결핵, 장티푸스, 전염성 피부질환 | 없음 | 아이·환자 등 취약계층 대상 급식 |
유흥업소 종사자 | 3개월 | 폐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 매독, 임질, HIV(에이즈), B형 간염 항원 검사 |
지역에 따라 필수 / 일부 보건소만 시행 |
7. 보건증은 어떻게 발급 받나요 ?
1) 보건소 직접 방문해서 수령
신분증 가지고 검사받은 보건소에 직접 가서 발급받을수 있어요
2) 인터넷 발급 ( 공공보건 포털 또는 정부24 )
* 공공보건포털 바로가기
https://www.e-health.go.kr/gh/caSrvcGud/selectScrtfIssGud.do?prfDocClCd=01&menuId=200022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 정부 24 바로가기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8. 보건증 인터넷 발급이 안 되는 경우는?
검사 결과가 ‘정상’이 아닐 경우
결핵사업 등 특별 검진에 해당되는 경우
입력한 개인정보와 인증서 정보가 다를 경우
여려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보통 아래 3가지에 해당되요
만약 그래도 안될때는 아래 고객센터에서 상담원과 통화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 고객센터 문의: 1566-3232 (평일 09:00~18:00)
마무리
보건증은 알바든 창업이든 음식 다루는 일이라면 꼭 필요한 기본 서류예요
언제 받지 하다가 잊고 놓치게 쉬운 게 바로 보건증이에요
받는 데 길면 일주일 걸리니까 오늘 이 글 보신 김에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 검색부터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